Differential of Memory (기억의 미분)


Sojung Bahng
Differential of Memory (Generative Expanded Cinema 2015)
Generative System, Network Visualization: Patrick Hutchings Multi-layered Screen: Doowon Yoo
‘Differential of Memory’ interprets an individual as a set of memories. A set of memories forms fluid and unlimited connections with that of another person’s. In this artwork, the chaotic process of forming various layers in a relationship is examined by using multi- channel video projections, light, and a visualization of the system network model.
방소정
기억의 미분 (제너레이티브 확장 영화 2015)
<기억의 미분>은 각 개인의 기억이 관계 속에서 마주하며 무한하게 생성되는 Something의 순간들을 표현한다. 이는 개인 안에 내재된 기억이 타인의 기억과 마주하면서 형성해내는 불확정적이고 다층적인 관계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관객이 직접 몽타주를 구성하고 ‘멀티레이어 스크린’ 사이를 횡단하는 것은 개인화된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한 장치이다. 즉 관계형성의 패턴을 스스로의 기억에 근거하여 해석하고 자신만의 Something에 대해서 고찰하도록 하는 것이다.
1. 관객들은 ‘썸some’의 분위기가 느껴지는 남녀배우의 모습이 담긴 짧은 영상을 본다. 2. 관객들은 남녀배우 각자의 기억과 관련된 단어를 선택하고 조합해서 타임라인을 형성한다.
(수십개의 영상클립에는 단어로 태그가 달려있다.)
3. 네트워크 컴퓨터 생성 시스템에 의해서 선택된 단어가 랜덤으로 조합된다. 영상물 조합의 과정은 뇌가 연결지도를 형성해나가는 것처럼 가시화된다. 4. 네 개의 층위로 설치된 스크린 위에 단어의 네트워크로 조합된 남녀배우의 기억 이미지들이 상영된다.
(관객의 단어 선택에 따라 매번 다른 영상이 만들어진다.)
Actor: 임호경 (Hokyung Im) Actress: 한주원 (Joowon Han) Cinematographer: 최원석 (Won Seok Choi) Lighting director: 최현호 (Hyeonho Choe) Assistant director: 옥민아, 홍석표 (Minah Oh, Seokpyo Hong) Line-producer: 김호빈 (Hobin Kim)
Generative editing system, network visualization: Patrick Hutchings
Multi-layered screen: 유두원 Doowon 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