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oMe Chair (어떤의자)

Wonseok Choi

SoMe Chair (Interactive Mixed Media Installation 2015)

Two individuals sit on an ‘SoMe Chair’ and wearing EEG detectors and heartbeat sensors. Their brainwave frequency and heartbeat rates are linked to each other’s senses delivered through light, sound and vibration. They exchange unlimited, unfixed, circular interaction through the chair, however their communication stays illusory.

최원석

어떤 의자 (인터렉티브 복합매체 설치 2015)

‘썸some’은 인간 감정과 현실적 제약이라는 불확정적인 요소에 의해 연애의 성공 여부가 중첩되어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어떤 의자>는 썸을 타는 심리적인 행위가 상대방을 직시하는 것보다 대상의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환상을 강화시키는 과정이라는 것을 폭로한다. 두 사람은 의자에 앉아서 심전도 및 뇌파 측정기를 착용한다. 본인의 뇌파와 심전도의 정보는 빛과 소리, 진동이라는 매질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뇌파와 심전도 정보는 사운드 트랙의 조합과 LED를 통한 빛과 색으로 전환된다. 의자에 설치된 진동모터의 타이밍과 전기자극 강도 또한 이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결국 대상에게 전달된 감각적 자극은 그(그녀)가 착용하고 있는 뇌파와 심전도 정보에 영향을 미치고, 본인에게 동일한 매질을 통해 다시 피드백 된다. <어떤 의자>에 앉아있는 썸의 상태 속에서 두 사람은 직간접적이고 순환적인 방식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직접적인 접촉에는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환상을 보고(빛), 듣고(소리), 느끼며(진동, 전기) 상상적인 관계 속에 머무른다.

archive

recent pos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