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OMPLEXITY (Art & Technology) 전시


SOMPLEXITY

: The meeting of ‘some’ and ‘complexity’

Sojung Bahng (Curator)

‘썸(some)’, a trendy word in Korea now, is an abbreviation of ‘썸씽 (something)’. It is widely used to describe a complicated or ambiguous state in a relationship. It may imply an anxiety of indeterminacy and a desire for mystery when people create the complex concept of love. Like animals, people are sexually attracted to each other, but, with their mental capabilities, they can transfer this sexual energy to affection or attachment. These fragility and beauty of human beings are what distinguished from animals.

In Korean society, as a whole, people constantly define their values and identity based on other people’s evaluation of them, so personal relationships have become a burden in this era of limitless competition. Therefore, people may categorize their undefinable relationship as ‘썸(some)’ to justify their uncomfortable situations or feelings although they can naturally experience ‘something’ in everyday life. Can we capture the essence of ‘something’ as complex emotions that only human beings can create? ‘썸(some)’ can be explained as the map of connections that each individual’s memory reconstructs, the complex processes of brain activities or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patterns in human connections.

<SOMPLEXITY> is an Art & Technology exhibition that represents the various layers of ‘썸 (some)’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art, technology and science. This exhibition presents the different significant moments individuals confront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in human relationships. <SOMPLEXITY> explores the features of ‘썸(some)’ in terms of ‘complexity’ - a term for describing a system that has many co- affecting variables that interact in diverse and unpredictable ways. The exhibition examines the chaotic process of forming relationships by combining various sciences and technologies such as neuroscience, new media and physics. In conjunction with the exhibition, a showcase expressing the meaning of ‘썸(some)’ in more accessible genres to the public, such as film, dance and music, is presented.

As a curator, it was difficult to draw universal empathy about ‘썸(some)’ in <SOMPLEXITY>, because I could not be freed from the artists’ personal perspectives while curating the exhibition. However, attempts to find an intersection between artistic expressions and scientific concepts are meaningful and significant. We hope that this exhibition helps us become closer to the essence of human relationships that the concept of ‘썸’ suggests through the scientifically informed explorations and artistic endeavor.

SOMPLEXITY

: SOME과 COMPLEXITY의 만남

방소정 (기획)

영어로 something, 즉 '무엇인가'로 번역되는 단어는 한국사회에서 특수한 관계를 지칭하는 '썸남, 썸녀, 썸탄다'의 어구로 활용됩니다. 관계에서 나타나는 something이란, 사랑이라는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에 포함되는 불안, 욕망, 경계, 긴장 등의 복합적 메커니즘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대상에게 성적인 이끌림을 느끼면서도 뇌의 기능을 통해 애착과 정으로 전환합니다. 이는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의 본질적 나약함이자 아름다움입니다.

한국사회는 사회적 시선으로부터 끊임없는 선택을 받으며 존재가치를 확인하는 특수한 집단정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무한경쟁의 사회 속에서 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은 그 자체로 부담입니다. 이러한 심리적 갈등은 something 을 '썸'이라는 애매 한 관계로 범주화시킵니다. 그렇다면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복합적인 감정인 something 의 본질은 존재하는 것일까요? 이는 각 개인의 기억이 재구성되어 나타나는 연결지도, 뇌의 복합적인 작동 혹은 생체심리적 반응이 만들어내는 순간 등 일 수 있습니다.

<SOMPLEXITY> 는 '썸'의 특징을 '복잡계(Complexity)'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아 트앤테크놀로지(Art & Technology) 전시입니다. 본 전시는 인문예술과 과학기술의 결합을 통해, 개개인이 의식·무의식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something, 즉 썸의 순간을 형상화했습니다. <SOMPLEXITY>는 '썸' 이라는 주제를 통해, 일상적인 something 을 복잡계 이론과 연결하여 '일상의 미학'을 과학적으로 해석했습니다. 복잡계는 수많은 변수들이 예측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시스템입니다. 작가를 비롯한 다수의 참여자들은 '썸'을 고찰하는 방법론으로써 뇌과학과 뉴미디어 기술, 물리학 등 다양한 접근법을 활용했습니다. 이는 다양한 관계의 형성을 미학적으로 탐구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그에 더해, 영화, 연극, 무용, 음악공연 등의 대중적이고 친숙한 형태로, ‘썸’의 함의를 풀어내기도 했습니다.

<SOMPLEXITY>에서 '썸'에 관한 보편적인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 다. 썸을 작품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창작자들의 개인적 관점을 벗어나는데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술적 표현과 과학적 개념 사이에서 접점을 찾 아내는 시도 자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노력이 관계의 다양한 형태와 본질에 대한 폭넓은 이해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Attending artists: Jaehyun Shin, Wonseok Choi, Sojung Bahng

참여작가: 신제현, 최원석, 방소정

Project leader, curator: Sojung Bahng

기획: 방소정

Science director: Jaegeun Lee

과학감독: 이재근

New media supervisor: Lim Kok Yoong

뉴미디어 자문: Lim Kok Yoong

Engineer 엔지니어 : Patrick Hutchings

Curatorial manager: Jungmin Woo

전시운영: 우정민

Space designer: Yun-im Yang

공간디자인: 양윤임

Collaborating artists: Joong Hee Soh, Jungmin Woo

협력작가: 소중희, 우정민

Planning team: Hobin Kim, Seokpyo Hong, Wonseok Choi, Sojung Bahng

기획팀: 김호빈, 홍석표, 최원석, 방소정

Sponsor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후원: 서울문화재단

Organized by Artengine

주최/주관 아트엔진

archive

recent post
bottom of page